[KIC > 신규]
임상시험종사자 직능(식약처 기준)
시험책임자(PI) / 시험자(SubI) / 관리약사 / IRB위원(의사) / IRB위원(의사 외) / 코디네이터(CRC) / 품질보증담당자(QA) / 모니터요원(CRA)신규자 /
심화 /
보수
소개
목차
교육일정
Early Clinical Development generally refers to the first test of new drug in humans and the proof of concept study conventionally known as Phase I and Phase II(a) trials. Although it is 'clinical' work it should begin far before human administration of a new medicine. It is the stage of bench to bed and animal to human translation with high uncertainty and high risk of failure. Preclinical phase of drug development should be incorporated as preparatory work for developing clinical strategy rather than routine check before human administration. Many of clinical trials fail especially in early stage of clinical development. Living with uncertainty is fate of this stage and new data and information should change the plan. The reason behind consecutive phased approach of clinical trials comes from this uncertainty and need for inevitable change with additional data. Emerging data will frequently initiate modifications of the development strategies. There are many reasons of failures in early clinical development. Preclinical data are often inadequate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and usually biomarker information is incomplete and not validated. Animal model is limited and different from human biology, and discrepancy between species hinder human translation. Also unpredicted safety and toxicity issues may interrupt development. Despite of scientific advances pharmaceutical R&D productivity have been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decades. How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ecame a critical issue of the industry, and it substantially depends on success of early clinical development. In this stage clinical trials are exploratory and learning one. This means that clinical plan and strategies are to be revisited with the learning and changing landscape, and front loading of later stage knowledge and experience is essential element of success. Complexity and uncertainty of early clinical development needs a variety of different expertise and multidisciplinary team work for a success. Systems and processes are built to support this, and agility of a group or an organization is core of success as well as people.
Jeewoong Son (LG Chem, Korea)_영어로 진행
상기 과정은 직능별, 단계별 인정가능시간이 상이하며 인정가능시간은 다음의 별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별표 1]
임상시험등 종사자별 교육과정 및 이수시간
(제5조 관련)
교육과정 | 해당 분야 실시경험이 없는 종사자 | 해당 분야 실시경험이 있는 종사자2) | ||
신규자 교육과정 (우선교육시간)1) | 심화 교육과정 | 보수 교육과정 | ||
가. 임상시험등 시험책임자3), 시험담당자4) | 8시간 이상 (4시간 이상) | 6시간 이상 | 4시간 이상 | |
나. 심사위원회 위원 | 의사등3) | 8시간 이상 (4시간 이상) | 6시간 이상 | 4시간 이상 |
그 밖의 위원 | 12시간 이상 (6시간 이상) | 6시간 이상 | 4시간 이상 | |
다. 관리약사 | 8시간 이상 (4시간 이상) | 6시간 이상 | 4시간 이상 | |
라. 임상시험등 모니터요원 | 40시간 이상 (20시간 이상) | 24시간 이상 | 8시간 이상 | |
마. 임상시험등 코디네이터 | ||||
바. 임상시험등 실시기관 품질보증 담당자 | ||||
사. 임상시험등 업무 담당자5) | 4시간 이상 (2시간 이상) | 3시간 이상 | 2시간 이상 | |
1) 규칙 제38조의2제3항 후단 및 제5조제2항에 따라 임상시험등 업무 경력이 없는 사람이 그 업무를 시작하기 전에 받아야 하는 교육시간을 말한다. 2) 보수교육과정은 평가를 생략할 수 있고, 해당 교육과정의 교육대상이면서 교육을 실시한 경우에는 교육시간을 이수시간으로 인정하며, 심포지엄, 워크숍, 온라인 교육 등으로 이수할 수 있으며, 이수시간의 최대 50/100까지 인정된다. 3) 의사 등이 시험책임자?시험담당자 교육과정에서 이수 받은 교육시간은 심사위원회 교육과정에서 이수 받은 교육시간으로 보며, 반대의 경우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4) 「의약품 등의 안전에 관한 규칙」 [별표 4] 의약품 임상시험 관리기준 제2호코목에 따른 시험당당자(Subinvestigator)를 말한다. 5) 시험담당자(Subinvestigator), 관리약사, 임상시험등 코디네이터를 제외한 시험책임자의 위임 및 감독에 따라 임상시험등 업무를 담당하는 사람(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등)을 말한다. |
평가기준 | 집합 출석율 | 온라인 진도율 | 시험 | 과제 | 토론 | 기타 |
---|---|---|---|---|---|---|
배점비율 | - | 90.00% | 10.00% | - | - | - |
과락기준 | - | 80% | 60점 | - | - | - |